-
목차
인공지능 시대,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쉽게 구분하는 법 알려드립니다
인공지능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두 용어, 바로 머신러닝과 딥러닝입니다.
비슷한 말 같지만 실제로는 구조와 작동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술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딥러닝과 머신러닝의 차이를 사례 중심으로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립니다.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은 어떤 관계일까?
AI는 인공지능, 즉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머신러닝은 AI의 한 분야로,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가집니다.
딥러닝은 다시 머신러닝 안에 포함된 개념으로, 특히 ‘신경망’을 기반으로
복잡한 패턴을 학습하고 인식하는 고도화된 학습 기술입니다.
머신러닝은 ‘규칙’을 배운다
머신러닝은 사람이 먼저 데이터를 정리하고, 어떤 기준으로 학습할지를
설정한 뒤 컴퓨터가 그에 따라 스스로 예측을 해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스팸 필터링을 할 때, 사람이 “이 단어가 들어가면 스팸이다”
같은 조건을 설정해주면 머신러닝은 그 규칙을 바탕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딥러닝은 ‘스스로 규칙을 만든다’
딥러닝은 특징을 사람이 지정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이미지나 음성, 자연어처럼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스스로 중요한 특징을 추출하고, 예측까지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 사진을 구분할 때, 딥러닝은 눈·코·귀 등의 패턴을
스스로 학습하여 고양이를 인식합니다.
비교로 이해하는 머신러닝 vs 딥러닝
항목 머신러닝 딥러닝
특징 추출 사람이 설정 컴퓨터가 자동 추출 처리 속도 상대적으로 빠름 연산량 많아 느릴 수 있음 데이터량 적당한 양으로 가능 매우 많은 데이터 필요 응용 분야 간단한 예측·분류 이미지, 음성, 자연어 등 복잡한 데이터 처리
머신러닝 예시: 대출 심사 자동화
은행에서 대출 심사를 할 때, 머신러닝은 고객의 나이, 직업, 소득 등
사전에 정해진 항목을 기준으로 대출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이 방식은 빠르고 효율적이며, 사람이 만든 규칙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딥러닝 예시: 자율주행 자동차
자율주행차는 수많은 도로 정보, 보행자 움직임, 신호등 색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운전 결정을 내립니다. 이처럼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려면 딥러닝 기술이 필수입니다.
가장 큰 차이, ‘사람의 개입 정도’
머신러닝은 여전히 사람의 설계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딥러닝은 데이터만 많으면 스스로 학습해 더 복잡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차이는 곧 응용 범위와 기술 발전 속도에서도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어느 쪽이 더 뛰어난 기술일까?
딥러닝이 더 발전된 기술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적은 데이터로 빠르게 결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머신러닝이 더 유리할 수 있고,
복잡한 분석이나 자동화가 필요할 경우에는 딥러닝이 적합합니다.
즉, 상황과 문제에 따라 두 기술은 보완 관계입니다.'IT & 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용 IoT와 일반 IoT, 무엇이 다를까? 핵심 차이점 완벽 정리 (2) 2025.07.04 스마트홈, 꼭 필요한 제품만 똑똑하게 고르는 법 (0) 2025.07.04 챗GPT로 실현하는 콘텐츠 생산 자동화 전략 (4) 2025.07.03 자연어처리 기술로 가능한 일들, 어디까지 왔을까? (2) 2025.07.03 AI 스타트업 피칭, 투자자를 사로잡는 핵심 포인트는? (0) 2025.07.03